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아 발달 이론: 정보처리 이론
    유아 발달 2023. 4. 3. 14:27

    1. 정보처리 과정이란

     정보처리 이론은 1970년대 컴퓨터의 정보처리 과정이 연구되면서 인간의 인지 활동을 컴퓨터의 정보처리 과정에 적용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는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을 확장시킨 것인데, 피아제 이론은 인지발달을 단계적으로 설명하였다면, 정보처리 이론은 발달을 연속적이고 계속적인 과정으로 본다. 또한 유아가 감각을 통해 들어온 환경으로부터 인상을 수용하는 순간과 확인할 수 있는 반응이 나타나는 순간 사이에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지 알아보는 것이 정보처리이론이다.

    2. 정보처리 과정

     컴퓨터의 정보처리는 자판을 통해 부호화하고, 하드디스크에 저장을 한 후 모니터를 통해 인출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처럼 인간의 인지활동 또한 비슷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먼저 선택된 정보를 기억해 낼 수 있는 형태로 구분하여 기록하는 부호화 과정을 거친다. 다음으로 부호화한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저장된 정보를 필요할 때 꺼내는 인출 과정이다.

    3. 정보 저장소

     정보처리 모형에서 인지활동의 과정은 부호화, 저장, 인출의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먼저 학습자가 환경의 자극을 받으면 눈이나 귀와 같은 감각 수용기관을 통해 정보를 최초로 저장하게 되는데 이 장소를 감각기억이라고 한다. 감각기억은 무제한의 정보를 수용할 수 있지만 저장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많은 정보들이 금방 유실된다. 다음으로 저장된 정보에 대한 정신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단기기억이 있다. 단기기억은 정보가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곳으로 새로운 정보와 기존에 알고 있던 정보 간에 새로운 관계를 구성하거나 수정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정보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장소인 장기기억이다. 장기기억은 일상적인 경험에 대한 일상기억과 개념, 법칙과 같이 학습한 것에 대한 의미기억으로 구성된다.   

    4. 기억전략의 발달

     기억전략은  정보를 장기기억 속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 인출하는 것을 편하게 해 주는 활동을 의미한다. 유아기에는 이를 자발적으로 활용하기는 어려우나 연령이 높아지면서 상황에 맞게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변화시키는 시도를 보인다. 기억전략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장기기억으로 옮기는 방법

     첫째, 주변의 다양한 자극 중에서 특정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서 먼저 그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는 주의집중이다. 둘째, 기억해야 할 정보를 반복해서 암송하는 시연이다. 셋째, 기억해야 할 항목을 회상하기 쉽게 범주화하는 조직화 전략이다. 넷째, 새로운 정보를 이해하기 위해서 기억자료에 새로운 정보를 첨가하여 기존의 정보와 의미적 관계를 부여하여 통합하는 정교화이다. 마지막으로 정보를 저장할 때 사용했던 전략으로 인출하는 등 여러 인출단서를 활용하는 인출전략이다. 인출전략에는 객관식 시험과 같이 주어진 자료에서 정보를 찾아내는 재인과 주관식 시험과 같이 주어진 자료 없이 정보를 인출해 내는 회상으로 구분된다.   

    2) 상위기억의 발달

     상위기억은 정보의 저장 및 인출의 모든 측면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으로 스스로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다. 상위기억은 과제를 효율적으로 계획하기 위해 요구되는 과제에 대한 새 지식이 있고, 시연, 조직화 등 효율적인 기억전략에 대한 새 지식, 기억 능력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사람들에 대한 지식 이렇게 세 범주로 나누어진다.

    5. 정보처리 과정 이론의 시사 및 한계점

     정보처리 이론은 정보가 투입되고, 저장되며, 인출되는 인간의 인지적 활동을 예측할 수 있게 체계화를 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피아제, 비고츠키와 같이 유아를 능동적인 주체로 보았다. 하지만 정보처리 이론에서 영아기를 제외한 점은 한계점으로 남았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