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아 발달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유아 발달 2023. 4. 13. 09:26
1. 유아 발달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의 개념
유아 발달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은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키고 유능감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친사회적 행동의 개념은 타인에 대한 배려에서 오는 바람직한 행동으로 돕는 것, 나누는 것, 협동, 배려 등으로 나타난다. 이는 공유하고, 자기를 조절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사회적 기술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즉, 행위자가 외적인 보상을 기대하지 않고 타인을 이롭게 하려는 행동으로 행위자의 희생과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2. 친사회적 행동의 형성 이론
친사회적 행동의 형성 이론은 기질론, 생물학적 이론, 정신분석 이론, 사회학습 이론, 인지발달 이론 등이 있다. 기질론은 친사회적 행동이 개인의 기질이나 성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는 이론으로, 친사회적 행동의 개인차를 측정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생물학적 이론은 친사회적 행동을 생물의 생존과 관계된 행동으로 보았으며, 문화적 다양성에 기초하여 오랜 기간 친사회적 행동이 선호되었다. 정신분석 이론은 친사회적 행동이 초자아가 발달되어야 형성된다는 이론으로 부모의 가치를 동일시하는 과정에서 친사회적 행동을 학습하게 된다는 것이다. 사회학습 이론은 친사회적 행동이 자극에 대한 반응의 결과로써 내적 보상에 의한 강화로 학습된다는 이론이다. 특히 사회학습이론가들은 학습자 스스로 모델을 선택하고 관찰하면서 학습해 간다고 하였다. 인지발달 이론에서 친사회적 행동은 사회인지 능력이 정교화됨에 따라 발달한다는 이론이다. 즉, 타인에 대한 이해와 정서에 대한 공감적인 이해가 포함되는 조망능력이 발달되어야 친사회적 행동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3. 콜버그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
콜버그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다. 1단계 물리적 강황에 의한 추종 단계는 남을 돕는 최초 단계로 구체적인 상벌의 약속이 있을 때만 타인의 명령에 복종하는 모습을 보인다. 2단계는 심리적 강황에 의한 복종 단계로 명령에 복종을 하지만, 구체적인 상벌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신 칭찬과 같은 심리 사회적인 상벌을 예측하여 친사회적 행동이 나타나게 된다. 3단계 자발성 단계는 타인의 요구 없이도 스스로 남을 돕는 행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상벌을 예측할 수 있을 때로 제한된다. 4단계 규범적 행동의 단계는 사회적 승인을 얻기 위한 규범적 가치 내에서 친사회적 행동을 하는 단계이다. 5단계 일반적 상호작용은 구체적이고 심리적인 상벌을 예측할 수 없어도 일반적인 교환의 원칙에 따라 타인을 돕는 행동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6단계 이타적 행동 단계는 타인을 진심으로 도와주고 싶다는 동기에서 실행하고, 자신에 대한 만족감이라는 자기강화를 하게 된다. 7단계 관념적 이타성 단계는 외적이고 내적인 보상에 대한 기대 없이 이상적인 가치만으로 친사회적 행동을 하는 단계이다.
4. 호프만의 공감능력의 발달
공감능력은 타인의 정서를 자신의 정서처럼 받아들이는 것으로 친사회적 행동에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호프만의 공감능력의 발달은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을 기반을 4단계의 발달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1단계 미분화된 공감(0~1세)으로 이는 자신과 타인의 존재를 구분하지 못하여 타인의 고통을 자신의 감정으로 혼동한다. 예를 들면 누군가 울 때 영아는 따라 울거나, 손가락 빨기를 통해 스스로 위안을 찾고자 하는 행동 등을 보인다. 2단계 자기중심적 공감(1~2세)은 자신이 아니라 타인이 고통을 당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며 그 사람이 누구인지도 인지한다. 그러나 자신과 다른 감정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의 방식으로 타인의 고통에 반응한다. 예를 들면 엄마가 슬퍼 보일 때 장난감을 가져다주는 행동을 보인다. 3단계 타인의 감정을 공감(2~3세)하는 것으로 타인이 자신과 다른 감정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타인의 입장에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모습은 고통받는 존재가 자신의 눈앞에 보일 때에만 가능하다. 4단계 생활 조건을 공감(아동기)하는 것으로 직접 눈으로 보지 않고, 상상만으로 타인의 고통에 감정이입을 할 수 있다. 이는 봉사와 같은 이타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유아 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발달에 따른 공격성 발달 (0) 2023.04.15 유아 발달에 따른 우정 발달 (0) 2023.04.14 유아 발달에 따른 마음 이론 (0) 2023.04.12 유아 발달에 따른 정서 발달 (0) 2023.04.11 유아 발달에 따른 성 역할 개념 발달 (0) 2023.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