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아 발달 이론: 생물학적 관점 - 성숙이론유아 발달 2023. 3. 29. 15:23
1. 생물학적 관점이란
유아 발달 이론은 '발달 이론'의 맥락에서 여러 학자에 의해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그중에서 생물학적 관점은 다윈의 진화론을 기초로 진화의 산물인 유전자가 유아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즉, 정해진 유전적 계획에 따라 유아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관점이다. 이러한 생물학적 관점에는 성숙 이론과 동물행동학적 이론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성숙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성숙 이론: 게젤
성숙 이론은 유아 발달이 이미 정해진 유전적 정보에 따라 순서적이고 자연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본다. 이러한 성숙 이론은 루소의 자연주의 철학이 바탕이 되며 이를 과학적으로 적용하여 새로운 학문 분야로 성립시킨 학자가 바로 게젤이다. 즉 게젤(Arnold Lucius Gesell, 1800~1961)은 외부 환경의 영향이 아닌 내적인 유전적 요소를 중요시하였으며, 인간은 이러한 유전적인 요소에 의해 성장의 방향이 결정되는 '성장모형'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이는 유전적으로 정해진 내적인 힘에 따라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입장이며 이를 '사전 결정론'이라고 한다. 이는 유아가 배울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준비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준비도'라는 개념으로 이어진다. '준비도'는 유아에게 무엇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유아가 성숙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게젤은 다수의 유아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연령에 따른 발달 평균을 제시한 행동목록을 작성하여 유아 발달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표준행동목록'이라고 하며 유아 개인의 발달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게젤은 유아 행동 발달 단계를 0~5세, 5~10세, 10~16세 등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발달 단계는 단순히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아니다. 각 시기마다 정해진 유전적 발달을 통해 발달 단계를 거치고 이는 미성숙한 모습에서 성숙한 모습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정해진 유전적 발달은 '성숙주의 원리'로 불리기도 하며 다음과 같다.
1) 발달 방향의 원리
발달 방향의 원리는 발달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머리에서 다리로 발달하는 두미방향의 원리, 중심에서 말초로 발달하는 근원방향의 원리,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진행되는 세분화 방향의 원리 등을 의미한다.
2) 상호적 교류의 원리
상호적 교류의 원리는 좌뇌와 우뇌, 두 눈, 두 다리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두 부분이 각각 발달한 이후에 통합되어 균형적으로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신체적인 발달뿐만 아니라 성격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3) 기능적 비대칭의 원리
기능적 비대칭의 원리는 신체 각 부분이 균형적으로 발달이 이루어지더라도 완벽한 균형을 이루기는 어려우며, 이때 발생하는 약간의 불균형이 오히려 실제에서는 기능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등에서 이러한 원리가 나타난다.
4) 자기조절의 원리
자기조절의 원리는 영유아가 스스로 자신의 수준에 맞게 성장을 조절하고 이끌어간다는 것이다. 영아가 성장하면서 수유 시간 및 수유량, 수면시간 등을 조절하는 것에서 이러한 원리가 나타난다.
5) 개별성의 원리
개별성의 원리는 개개인의 내적인 힘에 의해 성장속도가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이는 개인차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영유아마다 앉고, 걷고, 달리는 시기가 다른 것에서 이러한 원리가 나타난다.
3. 성숙 이론의 시사 및 비판점
이처럼 게젤은 유아가 성장하고 발달하는 것에 대한 시간표를 제시해 줌으로써 유아가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활동의 주도권이 유아에게 있어야 한다는 학습의 준비도를 강조하였다. 하지만 유아가 환경과의 관계에서 성장하고 발달하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과 발달 단계가 획일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개개인의 개성이 반영되지 못했다는 점에서는 비판을 받고 있다.
[Tip] 성숙 이론에서 성인의 역할은 유아의 흥미를 관찰하여 적절한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유아 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발달 이론: 행동주의 이론 (0) 2023.03.31 유아 발달 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0) 2023.03.31 유아 발달 이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0) 2023.03.30 유아 발달 이론: 생물학적 관점 - 동물행동학적 이론 (0) 2023.03.30 유아 발달의 개념 및 원리 (0) 2023.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