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아 발달 이론: 생물학적 관점 - 동물행동학적 이론
    유아 발달 2023. 3. 30. 11:55

    1. 생물학적 관점이란

     유아 발달 이론 중에서 생물학적 관점은 다윈의 진화론을 기초로 진화의 산물인 유전자가 유아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즉, 정해진 유전적 계획에 따라 유아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관점이다. 이러한 생물학적 관점에는 성숙 이론과 동물행동학적 이론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동물행동학적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동물행동학적 이론이란

     동물행동학적 이론은 인간이 오랫동안 진화하면서 행동양식이 만들어지고, 이는 환경의 영향과는 무관하게 일정한 시기가 되면 저절로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동물행동학적 이론은 인간의 본능적인 행동에 중점을 두고 적응과 생존에 있어서 인간의 생물학적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동물행동학적 이론은 로렌츠에 의해 기초를 다지고, 보울비가 애착관계에 적용하면 계속해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1) 로렌츠의 각인 이론

      로렌츠(Konrad Lorenz, 1903~1989)는 동물행동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1973년 노벨 생물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여러 종의 동물 행동을 관찰하여 생존에 필요한 행동패턴을 발견하였고 이것이 바로 각인이다. 각인은 태어나서 가장 처음 대하는 대상에 애착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먹이를 얻고, 위험으로부터 보호를 받기 위한 생존본능이다. 이러한 현상은 생후 초기의 특정한 기간 내에서만 발생한다. 즉 이러한 특정한 기간이 결정적 시기가 된다. 결정적 시기는 유아 발달에서 유아기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개념으로 유아가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환경적 지원을 받아야 함을 의미한다.   

    2) 보울비의 애착 이론

     보울비(John Bowlby, 1907~1990)는 제2차 세계대전 후 고아원에서 성장한 아동들에게 나타난 현상을 연구하면서 친밀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지 못했을 때 정서적으로 문제가 생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동물이 태어난 직후 생존을 위해 각인되는 것처럼 인간 또한 출생 직후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대상에게 신호를 보내게 되고, 그 대상이 이에 반응하면서 애착이 형성된다. 즉, 애착은 영아와 주 양육자 간의 강한 정서적 유대를 의미하며, 동물에게서 보이는 각인 현상보다 좀 더 길고 복잡하게 나타난다. 보울비는 이렇게 영아와 주 양육자 사이에 형성된 안정적인 애착관계는 생존을 넘어서 정상적인 심리발달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애착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전애착 단계(0~3개월)

     애착이 형성되기 이전의 단계로 대다수 사람에 대한 반응이 선택적이지 않고 비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낯선 사람과 있어도 신경 쓰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② 애착형성 단계(3~6개월)

     낯선 사람에게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지만, 낯익은 사람을 구별하여 초점을 맞추고 미소를 짓는 것과 같은 선택적 반응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때 울음이 날 때 낯익은 사람이 달래야 그치는 모습도 보인다.  

    ③ 명백한 애착 단계(6~18개월)

      영아가 기어 다닐 수 있는 시기로 애착이 형성된 대상에게 적극적으로 접근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영아가 능동적으로 애착 대상에게 접근을 추구하며 낯가림이 심해지고, 애착 대상과의 분리에 불안을 느끼는 시기이다. 이처럼 처음에는 강한 애착 관계를 보이다가 점차 강도가 줄어들면서 여러 사람에게 애착을 형성하게 된다. 

    ④ 상호관계의 형성(18~24개월) 

      애착대상과의 접촉만을 추구하는 이전 단계와 달리 이 단계에서는 애착대상의 계획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잠시의 분리를 허용하며 참을 수 있게 된다. 즉 애착대상과 동반자와 같은 관계가 형성된다.

     

    3. 동물행동학적 이론의 시사 및 비판점

     지금까지 동물행동학적 이론을 대표하는 두 가지 이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처럼 동물행동학적 이론은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유아 발달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었다. 이는 인간의 발달이 자연적인 현상의 일부로서 있는 그대로의 유아 발달을 연구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하지만 동물이나 인간을 실험 대상으로 할 때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와 추상적 사고와 같은 그 이외의 발달은 경시하였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