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발달
-
유아 발달에 따른 미술 발달(2): 로웬펠드, 켈로그유아 발달 2023. 4. 19. 15:25
1. 로웬펠드의 평면표현 발달 단계 로웬펠드(V. Lowenfeld, 1970)의 평면표현 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다. 1단계는 난화기(2~4세)로 목적이나 방향에 대한 감각 없이 자유롭게 마구 그리는 무질서한 난화기, 동작을 규칙적으로 방향, 반복 등을 조절하면서 의도적으로 끼적거리는 조절된 난화기, 다양한 형태의 도형을 그리고 이름을 붙이는 의도적 난화기로 구분된다. 2단계는 전 도식기(4~7세)로 무의식적인 표현에서 의식적으로 표현하는 단계로, 두족인 형태의 그림을 많이 그리며, 알고 있고, 좋아하는 대상을 표현하고자 한다. 3단계는 도식기(7~9세)로 유아의 경험과 정서에 따라 대상을 반복해서 그리는 단계로 의미 있는 부분을 과장하거나, 기저선으로 공간을 구분하는 것과 같은 독특한 도식을 형성한다...
-
유아 발달에 따른 미술 발달(1)유아 발달 2023. 4. 18. 10:21
1. 유아 발달에 따른 미술교육 이론 유아 발달에 따른 미술교육 이론에는 성숙주의 이론, 정신분석 이론, 인지발달 이론, 지각발달 이론, 발생반복 이론 등이 있다. 성숙주의 이론은 유아의 미술 발달을 유전적 능력으로 보고, 예정된 순서대로 발달하는 것으로 보았다. 즉, 유아가 발달 단계에 적합한 준비가 되어야 그리기, 만들기 등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지도자는 기다려 주고, 지지해 주며, 격려해 주어야 한다. 또한 미술과 관련된 공간적 지능이 발전해 가도록 허용적인 분위기, 다양하고 풍부한 재료가 제공되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정신분석 이론은 무의식적인 기제를 강조하는 이론으로 미술표현을 발달이나 지식의 반영이 아닌 통해 무의식의 심리를 표현한 것이라고 보았다. 즉, 유아는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
유아 발달에 따른 노래 부르기 발달: 그린버그유아 발달 2023. 4. 17. 10:12
1. 그린버그의 노래 부르기 발달 단계 그린버그(Greenberg, 1979)의 노래 부르기 발달은 5단계로 이루어진다. 1단계는 초기 발성기(~3개월) 단계로 울음, 옹알이, 한숨, 재채기, 트림 소리 등의 발성을 사용하며 주로 모음 소리로 이루어져 있다. 그중에서도 울음과, 쿠잉 등은 음악적 요소를 내포하는 것으로, 이를 시작함으로써 소리 놀이를 즐기기 시작한다. 2단계는 목소리 실험과 소리 모방하기(3~18개월) 단계로 언어적 옹알이(3~4개월)에서 음악적 옹알이(6~9개월)로 발달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영아가 소리의 패턴과 억양을 흉내 내는 것으로, 18개월이 가까워 지면 리듬패턴과 높낮이를 이용해 옹알이를 하는 모습을 보인다. 3단계는 대략적으로 노래 부르기(18개월~3세) 단계로 유아가 노..
-
유아 발달에 따른 도덕성 발달유아 발달 2023. 4. 16. 10:42
1. 도덕성의 개념 및 이론적 관점 유아 발달에 따른 도덕성 발달에서 도덕성이란 사회적 규범을 이해하고, 옳고 그름의 가치 기준에 따라 판단하고 행동하고자 하는 타고난 마음씨를 의미한다. 도덕성은 죄책감 같은 도덕적 감정을 의미하는 정의적 요소, 일탈적 행동이나 유혹에 대처하는 행동과 같이 도덕적 행동을 의미하는 행동적 요소, 선악의 가치와 같은 도덕적 사고를 의미하는 인지적 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덕성 발달에 대한 이론적 관점으로는 정신분석 이론, 사회학습 이론, 인지 발달 이론 등이 있다. 먼저 정신분석 이론은 도덕성의 구성요소 중에서 죄책감, 동정심과 같은 정의적 측면의 도덕적 감정과 태도를 주안점으로 삼았다. 이는 도덕의 원리를 주관하는 초자아가 공격성이나 성적 충동을 통제하는 과정에 초점을 ..
-
유아 발달에 따른 공격성 발달유아 발달 2023. 4. 15. 11:06
1. 공격성 형성이론 공격성 형성을 설명하는 이론에는 동물행동 이론, 정신분석 이론, 사회학습 이론, 추동이론, 사회인지 이론 등이 있다. 동물행동 이론은 공격성이 잠재되어 있는 선천적 경향이라고 보는 것으로, 싸우고자 하는 본능이 있다고 보았다. 이는 진화론적 입장에서 공격성이 자신의 영역을 방어하고 새끼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정신분석 이론 또한 공격성을 선천적이고 본능적인 것으로 보고, 죽음의 본능인 타나토스로부터 나온다고 보았다. 즉, 타나토스가 외부로 표출되어 공격적인 행동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이론으로 추동 이론이 있다. 이는 좌절-공격성 이론이라고도 하며, 공격성을 공격적인 동기 또는 추동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다. 즉, 공격성은 목표지향적인 행동이 저지될 ..
-
유아 발달에 따른 우정 발달유아 발달 2023. 4. 14. 08:23
1. 유아 발달에 따른 우정 발달 유아 발달에 따른 우정 발달에서 우정이란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또래와 맺게 되는 만족스러운 관계를 뜻한다. 이는 특정 유아들이 서로 친한 친구라고 생각하는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의미한다. 친구란 '오래 두고 가까이 사귄 벗'을 의미하며, 친구 관계는 호감을 지닌 두 사람이 상호 의존하며 감정을 교환하는 개인적 수준의 관계를 의미한다. 어릴수록 연령이 같거나 비슷한 친구 또는 비슷한 발달 수준을 보이는 대상을 의미하는 또래들과 친구 관계를 형성한다. 우정의 발달 단계를 언급한 학자로는 데이몬과 셀만이 있다. 2. 데이몬의 우정 발달 단계 데이몬(Damon,1997)은 '가장 친한 친구가 누구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와 같은 질문 외 여러 질문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
-
유아 발달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유아 발달 2023. 4. 13. 09:26
1. 유아 발달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의 개념 유아 발달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은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키고 유능감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친사회적 행동의 개념은 타인에 대한 배려에서 오는 바람직한 행동으로 돕는 것, 나누는 것, 협동, 배려 등으로 나타난다. 이는 공유하고, 자기를 조절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사회적 기술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즉, 행위자가 외적인 보상을 기대하지 않고 타인을 이롭게 하려는 행동으로 행위자의 희생과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2. 친사회적 행동의 형성 이론 친사회적 행동의 형성 이론은 기질론, 생물학적 이론, 정신분석 이론, 사회학습 이론, 인지발달 이론 등이 있다. 기질론은 친사회적 행동이 개인의 기질이나 성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는 이론으로, 친사회적 행동의 ..
-
유아 발달에 따른 마음 이론유아 발달 2023. 4. 12. 10:12
1. 유아 발달에 따른 마음 이론의 정의 유아 발달에 따른 마음 이론은 유아가 타인의 입장을 조망하고 공감하는 능력으로 마음에 대한 이해를 의미한다. 즉, 인간 행동의 바탕에는 보이지 않는 마음 상태가 있음을 이해하는 것으로 자신과 타인의 생각들이 행동과 관련된다는 것을 이해하는 사고체계이다. 마음 이론은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을 포함한다. 먼저 인지적 측면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으로 역할수용 또는 조망수용이라는 용어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정의적 측면은 타인과 같은 감정을 공유하는 것으로 공감 또는 감정이입과 같은 용어로 표현된다. 이러한 용어들의 의미는 각 범주 안에서도 미묘한 차이를 보이는데 조망수용능력은 타인의 관점이나 생각을 추론하고 이해하는 능력이라면 역할 수용 능력은 역할수용능력은 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