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아 발달에 따른 문자 언어 발달: 읽기, 쓰기
    유아 발달 2023. 4. 9. 20:47

    1. 문식성 발달

     문식성 발달에서 문식성은 글자라는 매체를 통해 의사소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문자언어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즉, 일상생활에서 인쇄물을 사용하여 읽고 쓰면서 의미를 형성하고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유아의 문식성 발달에 대한 관점은 성숙주의 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의 영향으로 읽기와 쓰기에 대한 준비도 개념이 지지를 받았다. 이후 사회언어학적 측면을 강조하는 발생학적 문식성 개념이 등장하여 호응을 얻었다. 먼저 성숙주의 관점에서 읽기 준비도 개념은 유아가 학습할 수 있는 신체적, 인지적 준비가 될 때까지 읽기와 쓰기 지도를 늦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행동주의 관점에서 읽기 준비도 개념은 성숙주의 처럼 읽기와 쓰기를 배우기 이전에 준비가 되어야 하지만 그 전에 다양한 경험을 통한 준비여야 한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마지막으로 발생학적 문식성 관점은 생애 초기부터 문식성이 발달되어 가는 것으로 생활 속에서 점진적으로 자연스럽게 발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식성 발달 단계를 언급한 학자 중에 쿠퍼와 카이거(Cooper&Kiger)의 읽기, 쓰기 발달 단계가 있다. 1단계는 글자와 말소리를 관계짓기 시작하고, 읽고 쓰는 척하는 발생적 문식성 단계이다.  2단계는 자소, 음소를 대응시키며, 정확한 글자에 관심을 가지는 초기 문식성 단계이다. 3단계는 맥락에 의존하지 않고 단어를 읽고, 분석할 수 있는 독자적 문식성 단계이다. 4단계는 세상에 대한 지식과 즐거움을 위해 글자를 읽는 능숙한 문식성 단계이다. 

    2. 읽기 발달

    1) 클레이의 이야기 책을 통한 읽기 발달

     클레이의 이야기 책을 통한 읽기 발달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글자가 이야기로 전환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하는 단계이다. 이때 유아는 책을 거꾸로 들고, 엉터리로 지어서 책을 읽는 흉내를 낸다. 2단계는 구어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 특별한 형태의 문어체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단계이다. 유아는 일상적으로 말을 할 때와 책을 읽을 때 사용하는 어휘가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여 놀이할 때와 책을 읽을 때 다른 어휘를 사용한다. 3단계는 그림을 보고 적절한 문장을 생각해 내는 단계이다. 이는 그림을 단서로 조합하여 자유롭게 이야기를 꾸며가며 책을 읽는다. 4단계는 책에 쓰여 있는 문장의 대부분을 기억하는 단계이다. 기억한 이야기 내용과 그림을 단서로 책을 읽지만, 책의 내용이 기억한 내용과 다르면 받아들이지 않는다. 5단계는 단어의 시각적 단서를 사용하여 문장을 재구성하는 단계이다. 글자를 손가락으로 짚으며 특정 단어에 대해 질문하기도 하고, 단어의 수에 관심을 갖기도 한다.  

    2) 설즈비의 이야기 책을 통한 읽기 발달

     설즈비의 이야기 책을 통한 읽기 발달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그림을 중심으로 읽는 것과 문자 중심 읽기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을 중심으로 읽는 것은 3개의 범주로 나뉘는데, 범주 1은 이야기가 형성되지 않는 읽기이다. 이는 다시 명명하기와 지적하기라는 하위범주 1, 행위 따라 하기라는 하위범주 2로 나뉜다. 범주 2는 이야기가 형성되는 그림 읽기이다. 이는 대화적인 이야기 말하기의 하위범주 1, 독백적인 이야기 말하기의 하위범주 2로 나뉜다. 범주 3은 문자 보지 않고 문어식으로 읽기이다. 이는 읽기와 이야기 말하기가 혼합된 읽기라는 하위범주 1, 원래 이야기와 비슷하게 읽기라는 하위범주 2, 원본 내용과 일치하게 읽으려 하기라는 하위범주 3으로 나뉜다. 다음으로 문자 중심 읽기는 범주 4로 문자 읽기 시도이다. 이는 문자 인식에 기초한 읽기의 거부라는 하위범주 1, 부분적으로 읽기라는 하위범주 2, 부조화 전략으로 총체적 읽기라는 하위범주 3, 독립적으로 읽기라는 하위범주 4로 나뉜다. 

    3) 자롱고의 읽기 발달 단계

     자롱고의 읽기 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다. 1수준은 책이 무엇인지 이해한다. 책과 놀잇감을 구별할 수 있으며 아무 페이지나 넘기는 등 물리적으로 책을 다루기 시작하는 수준이다. 2수준은 책의 기능을 이해한다. 책을 똑바로 세워서 책장을 넘기고 그림을 보면서 가리키고, 말하고, 연결하는 행동을 보인다. 3수준은 청취자와 참여자가 된다. 유아는 익숙한 이야기에서 그림을 단서로 소리내어 읽을 수 있다. 이때 유아는 외워서 읽는 것이다. 그리고 특정 단어나 구절을 반복해서 말한다. 4수준은 그림에 맞추어 이야기를 꾸민다. 유아는 그림을 단서로 이야기를 지어 말하며 문어체를 사용한다. 5수준은 글자, 의미, 이야기 지식에 초점은 둔다. 책의 내용이 그림이 아닌 글자를 읽기 때문에 항상 동일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모르는 단어는 철자와 상관없이 책의 맥락에 맞추어 수정해서 읽는 단계이다. 6수준은 단어의 형태와 소리, 글자 관계에 초점을 둔다. 글자를 정확하게 읽으려 의미가 통하지 않아도 철자에 맞는 아는 단어로 수정해서 읽는다. 7수준은 글자와 이야기에 대한 지식을 연결한다. 유아는 모든 경험을 연결시켜 철자법을 발견하고 단어를 알 때까지 반복 연습한다.

    3. 쓰기 발달

    1) 클레이의 쓰기 원리와 개념

     클레이의 쓰기 원리는 단계별로  구분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순서 없이 습득되며 동시에 여러 단계의 특징이 나타나기도 한다. 클레이 쓰기 원리는 첫째, 동그라미나 선 모양 같은 상징을 반복해서 그리는 반복의 원리이다. 둘째, 잘 알고 있는 몇 개의 낱자를 조합하여 열거하는 생성의 원리이다. 셋째, 유아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쓰기를 상징으로 표현하는 기호 개념의 원리이다. 넷째, 글자 기본 모양을 가지고 본 적 없는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 글자와 말소리를 관계 지으려는 융통성의 원리이다. 다섯째, 글자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줄을 바꾸는 것과 같이 방향이 있다는 것 인식하고 적용하려 애를 쓰는 방향의 원리이다. 여섯째, 단어와 단어 사이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그것을 표현하기 어려워 공간마다 마침표를 찍어 나타내는 띄어쓰기의 원리이다.  

    2) 설즈비의 쓰기 발달 

     설즈비의 쓰기 발달 단계 또한 단계별로 순서적으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한 단계의 쓰기 형태가 상위 또는 하위 단계의 쓰기 형태와 병행하여 나타난다. 먼저 쓰기가 의사소통 목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아는 그림으로 쓰기, 긁적거리기를 해놓고 무언가를 썼다고 하는 긁적거리기로 쓰기, 관례적이지는 않지만, 창의적인 글자 형태를 쓰는 글자 비슷한 형태로 쓰기, 익숙한 글씨를 일렬로 펼쳐서 쓰는 낱글자 연결해 쓰기, 기본 모양을 가지고 한 번도 본 적 없는 새로운 글자를 쓰는 창안적 글자 쓰기, 성인이 사용하는 형태로 쓰는 표준적 글자 쓰기가 있다.   

    3) 쉬케단츠의 쓰기 발달 전략

     쉬케단츠의 쓰기 발달 전략은 다음과 같다. 유아가 자국을 긋고 그 자국을 대상의 외적 특성과 연결시키는 물리적 관계 전략, 단어의 인위적 특성을 받아들여 몇 단어를 베껴 쓰는 시각적 디자인 전략, 구어와 글자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각 음절을 자국 하나로 기호화하는 음절적 전략, 단어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자모음을 연결하여 단어를 구성하는 시각적 규칙 전략, 유아가 만든 단어가 실제 단어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성인에게 철자를 묻거나 주변의 글자를 베껴 쓰는 권위에 기초한 전략, 철자를 생성하기 시작하며 발명적 철자가 나타나는 초기 음운적 전략, 소리에 기초한 철자법이 실제 단어와 똑같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하여 주변 사람에게 철자를 묻기 시작하는 후기 음운적 전략이 있다.

    4) 마차도의 읽기, 쓰기 발달의 원리

     마차도의 읽기, 쓰기 발달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적 발달의 원리로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배우게 되는 것이다. 둘째, 상호작용적 발달의 원리로 문자와 관련된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읽기와 쓰기를 배운다는 것이다. 셋째, 기능적 발달의 원리로 언어를 실제적인 사용을 통해서 배우는 것이다. 넷째, 구성적 발달의 원리로 상황과 관련하여 글을 쓴 사람이 전달하려는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다섯째, 통합적 발달의 원리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가 통합되는 활동을 통해 배우는 것이다. 여섯째,  점진적 발달의 원리로 읽기와 쓰기 발달이 연속적이고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