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아 발달에 따른 자아 개념
    유아 발달 2023. 4. 10. 09:54

     

    1. 자아 개념이란

     유아 발달에 따른 자아 개념의 발달에서 자아 개념은 내가 '나'에 대해 인식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즉, 자신을 지각하는 태도나 느낌의 전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아 개념은 인지적 측면의 자아 인식과, 평가적이고 정의적 측면인 자아 존중감으로 구성된다. 먼저 자아 인식은 자아인지라고도 하며 유아가 타인과 자신이 신체, 행동, 사고 등이 다른 독립적인 존재라는 것을 아는 것이다. 이러한 자아 인식은 외적이고 구체적인 현실에서 내적이고 추상적인 심리적 측면으로 변화된다. 예를 들어 자아 인식이 이루어지는 초기에는 이름, 키, 나이, 소유물과 같은 외적이고 구체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자아개념을 형성하는데 이를 범주적 자아라고 한다. 이후 6~8세경이 되면 자신의 내적 특성이나 또래와의 비교를 통한 자기표현이 나타난다. 다음으로 자아 존중감은 자신의 능력이나 가치에 대한 판단이나 평가적인 측면으로, 자신의 능력을 이해하고 자기를 가치 있게 평가하는 마음 또는 태도를 의미한다. 

    2. 자아통제능력의 발달

     자아통제능력은 외부의 감시가 없어도 사회적 규칙을 준수하려는 능력이나 바람직한 목표를 위해 충동적인 욕구나 행동을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코스텔릭(Kostelink, Whiren Soderman & Gregory, 2009)은 자아통제능력이 외부의 감시가 없어도 바람직한 과업을 위해 일시적인 즐거움과 도덕적 규준 위반에 대한 유혹에 저항하는 능력, 반사회적인 행동을 하지 않고, 옳은 행동을 위해 사회적 기대에 맞게 행동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부정적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 미래의 더 큰 만족과 보상을 얻기 위해 현재의 욕구나 만족을 참아내는 만족지연능력이라는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먼저 그랄른스키와 코프(Granlinski & Kopp)는 유혹에 저항하는 능력의 발달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자기이탈 방략은 허락되지 않은 놀잇감을 가지고 놀고 싶은 욕구를 억제하기 위해 놀잇감이 보이지 않는 곳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이 유아가 유혹의 대상으로부터 자신을 분리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언어적 자기교시 방략은 스스로에게 소리 내어 타이르는 방법이다. 이는 '~해야 돼'와 같은 과제 지향적 방략과, '~하면 안 돼'와 같은 유혹억제방략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하면 안 돼'의 유혹억제방략이 더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맥코비(Maccoby, 1980)는 부정적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의 하위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행동억제 능력으로 하던 행동을 중단하거나 금지하는 지시에 따르는 것이다. 둘째, 정서억제 능력으로 격렬한 분노를 참는 등 감정과 정서의 강도를 통제하는 능력이다. 셋째, 결론억제 능력으로 충동적인 판단하는 것이 아닌 신중하게 숙고하는 능력이다. 넷째, 선택억제 능력은 만족의 크기가 작은 단기 보상보다 큰 만족을 가져다줄 장기보상을 선택하는 능력이다. 마지막으로 미쉘과 에브슨(Mischel & Ebbesen)은 만족지연능력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다 큰 만족에 대한 신뢰, 즉각 만족과 지연만족의 크기를 비교했을 때 기다릴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만족의 상대적 가치, 유아가 기다릴 수 있도록 적절하게 짧아야 한다는 지연기간 등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자아통제능력의 발달 단계를 제시한 학자는 코프와 코스텔릭이 있다. 먼저 코프(Kopp, 1987)는 1단계 자아통제 능력이 양육자의 요구에 따라 순응하는 통제 단계(12~18개월), 2단계 양육자가 없어도 양육자 기대에 순응하는 자아통제 단계(2~3세), 3단계 유아가 자기 행동을 조종하며, 유혹을 억제하고, 만족지연에 도움이 되는 전략을 사용하는 자아규제 단계(3~6세)의 세 단계로 발달한다고 하였다. 다음으로 코스텔릭(Kostelnik, 1998)은 1단계 무도덕 단계로 옳고 그름에 대한 개념이 없어 본능에 따라서 행동하는 단계이다. 2단계는 집착 단계로 외부로부터 보상을 얻거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 규칙이나 기대를 따르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3단계는 동일시 단계로 좋아하는 사람처럼 되고 싶어서 규칙을 따르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4단계는 자신의 신념을 가지고 논리적으로 규칙을 논하며 그러한 규칙이 내면화된 상태로 양심에 의해 행동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3. 자아발달 이론

     자아발달 이론에는 정신분석 이론, 사회적 자아 이론, 현상학적 이론 등이 있다. 먼저 정신분석 이론을 대표하는 학자로는 프로이트, 에릭슨 등이 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을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구성 요소들이 상호작용한 결과라고 보았다. 하지만 세 가지 구성요소 간의 상호작용 이전에 인간 행동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의식적은 본능이라고 하였다. 에릭슨은 인간의 성격 발달에 사회와의 관계를 강조하며, 각 시기마다 발달과업과 극복해야 할 위기를 제시하였고, 이 기간 동안 발달과업 성취여부에 따라 성격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사회적 자아이론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아개념이 형성된다고 보는 이론이다. 사회적 자아이론에는 타인의 평가를 통해 개인의 자아가 형성된다고 하여 타인을 거울로 비유한 쿨리(Cooley, 1902)의 거울 자아 이론과 개인의 자아개념이 중요한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형성된다고 주장하는 미드(Mead, 1934)의 자아이론이 있다. 마지막으로 현상학적 이론은 인간을 자신의 의지로 삶을 영위해 나가는 자아실현적 존재로 보았다. 즉, 세상에 대한 지각과 주관적 경험을 토대로 행동이 결정되며 자아실현을 위해 발전을 지향하고, 이때 타인의 관심과 지원이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